첨단 기술 및 소부장 기술로 원자력 안전성을 극대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수준으로 원자력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과기정통부, 산업부 협업으로「가동원전 안전성 향상 핵심기술 개발사업(‘22년∼‘29년)」을 선정 공고(‘22.1.27~3.3)한다.

원전은 향후 60여년 간 국내 주요 에너지원으로써 안정적인 운영이 필요한 만큼, 그동안 축적된 원자력 기술과 정보통신기술 첨단 기술의 융합을 통해 원전 안전성을 극대화하고 궁극적으로 국민이 안심하는 안전한 원자력을 실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후쿠시마 사고('11), 경주('16) 및 포항('17) 지진 이후 높아진 국민의 안전 요구 수준을 고려할 때, 극한재해 대응과 안전현안 등을 해결하기 위한 혁신기술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간 과기정통부는 세계선도 수준의 안전기술 확보를 위해「미래원자력 안전역량 강화방안('18년)」, 첨단기술을 통한 안전 혁신을 위해「미래선도 원자력 기술역량 확보방안('19년)」을 마련했으며, 산업부는 안전 최우선의 원전 운영을 위해「Nu-Tech 2030('19년)」을 마련하였다.

이에, 과기정통부와 산업부는 국민 안전이라는 최우선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가동원전 안전성 향상 핵심기술 개발사업」등 안전 관련 연구개발 사업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와 산업부가 공동으로 추진하는「가동원전 안전성 향상 핵심기술 개발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 결과('21.6월 최종 통과)에 따라, '22년부터 '29년까지 총사업비 6,424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며, '22년 과기정통부는 345억원(61개 내외 과제), 산업부는 263억원(16개 내외 과제) 규모의 신규 과제를 선정한다.

본 사업은 국민 안심 수준의 원전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❶정보통신기술 첨단기술 융합을 통해 원전의 이상 징후를 조기에 파악‧대처하고, ❷다수호기, 다중 사고, 극한 복합재해 등에 대한 사고 예방 기술을 강화하며, ❸소부장 기술 강화를 통해 사고 대응력을 높일 계획이다.

과기정통부와 산업부는 연구개발 전과정에서 부처 공동으로 기획과 평가(공동 기획‧평가위원회)를 추진하여 부처간 사업 연계성을 강화하고,

발전사업자(한수원)의 사업추진 체계 참여(사업추진위원회, 기획위원회 등), 성과교류 정례화 등 원전 현장과의 협력 환경을 조성하여 연구 성과의 원전 활용성을 높일 계획이다.

또한 연합체(컨소시엄) 과제를 통한 연구자 협력 강화, 중소기업 참여 확대를 통한 원전 산업계 지원 등 다양한 혁신 주체의 사업 참여를 유도하여 융합연구 및 협력연구를 활성화하고자 한다.

과기정통부 권현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정보통신기술 등 첨단기술로 혁신을 촉진하고, 소재, 센싱 등 소부장 요소 기술을 강화하여 혁신 안전기술의 현장 활용도를 최대화할 계획이다.”라고 언급하며,

이를 위해 “연구자와 원전현장 간에 사업 목표를 공유하고 연구 방향을 논의할 수 있는 기술교류회 등 소통 기회를 정례화하고”, “원안위가 참여하는 실무협의체를 운영하는 등 규제 기관과의 협력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산업부 박동일 원전산업정책국장은 “안전은 원전 운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전제이자 최우선 가치인 만큼, 우리 원전 산업계가 원전 안전 관련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 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인포맥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