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탄소중립 R&D 투자를 강화하고 민간·현장 중심의 R&D 수행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7일 제3차 탄소중립기술특별위원회를 개최해 임무 중심형 탄소중립 R&D 추진체계(안)을 심의하고, 탄소중립 기술혁신 전략로드맵(안)을 검토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6월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과학기술 컨트롤타워로서 탄소중립 기술특위를 신설·운영 중이다. 특위에는 정부위원 5명과 학계·연구계, 산업분야 민간전문가 17명 등 모두 24명이 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날 위원회는 1호 안건으로 탄소중립 R&D사업 기획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제시했다.
특히 탄소중립 기술 혁신을 위해 여러 부처에서 대규모 R&D 사업을 기획·검토 중인 만큼, 명확한 공통기준 마련 필요성이 제기돼 이번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고 과기부는 밝혔다.
이에 따라 앞으로는 탄소중립 R&D 신청 때 탄소중립 기여도(탄소감축량 등), 기술 개발·실증·적용 시점 등 명확한 목표를 제시해야 한다.
아울러 개발된 기술·제품이 R&D로만 끝나지 않고 신속하게 현장에 보급·확산될 수 있도록 관련 제도·규제·인증도 함께 검토해 추진해야 한다.
전략적·합리적 탄소중립 R&D 투자를 강화해 나갈 수 있는 방향도 제시했다.
이에 앞서 정부는 탄소중립 R&D 예산을 올해 1조 5609억원에서 내년 1조 9274억원으로 23.5% 늘렸다.
또한 내년 2월까지 범부처 탄소중립 기술혁신 전략로드맵을 수립해 탄소중립 기여도가 큰 기술부터 R&D를 우선 투자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탄소중립 혁신기술은 현장적용이 최우선인 만큼 민·관 협업을 통해 국내 기업이 도입 의지를 표명한 기술을 중심으로 정부의 R&D를 우선 지원해 나가기로 했다.
이와 함께 목표 중심의 탄소중립 R&D 평가·관리 체계 구축 방안을 마련해 탄소중립 주요 기술분야 별 특정평가를 실시하고, 평가 결과를 탄소중립 R&D 정책·투자방향·사업 조정 등에 반영한다.
성과확산을 위해 매년 범부처 사업추진 현황·성과를 정리하고, 이를 공유하기 위해 산·학·연 참여 형태의 성과교류회도 개최할 계획이다.
2호 안건으로 철강, 석유화학·정유, 시멘트 3개 분야의 탄소중립 기술혁신 전략로드맵(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에 앞서 지난 8월 제2차 탄소중립 기술특위에서는 25개 분야 39개 중점기술을 선정했으며, 이 기술에 대해 분야별 전문가 164명이 참여해 전략로드맵을 수립 중에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산업분야 중 탄소배출량이 가장 많은 3개 분야 로드맵에 대해 집중 논의했으며, 논의 결과는 향후 기술분야별 로드맵을 수립하는데 적극 활용해나갈 계획이다.
이경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서는 탄소중립 R&D를 통한 혁신기술을 반드시 확보해야 하며, 정부는 이를 위해 R&D 수행-실증-현장적용의 전주기를 책임지고 추진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탄소중립 기술특위를 중심으로 민·관이 협력해 탄소중립의 도전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과학기술 역량을 총결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인포맥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양승우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