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인재 육성을 위한 ‘지역별 맞춤형 진로교육 지원 체계’ 필요
진로체험지원센터 운영 유형별로 운영 주체 및 방식에 따라 운영 체계가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12월 17일(화) ‘KRIVET Issue Brief 294호(지역 진로교육 참여 유형 비교: 진로체험지원센터 운영 체계를 중심으로)’를 발표했다.
※ 전국 219개 진로체험지원센터를 대상으로 학교 교육과정 연계 및 협력 실태를 분석했다.
주요 분석 결과(KRIVET Issue Brief 294호 참조)는 다음과 같다.
대도시의 진로체험지원센터는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중소도시와 읍면지역은 교육청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자체 중심 센터는 교육과정 변화에 대한 대응 준비도와 업무 실행 수준이 높은 반면, 교육청 중심 센터는 교사 참여도가 높고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지원 역할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체험지원센터의 운영 유형별 학교 진로교육 지원 현황이 달랐다.
지자체 중심 운영 센터는 업무 실행 수준이 높은 반면, 교육청 중심 운영 센터는 중요도와 실제 수행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교육청 중심 운영 센터는 ‘지역 실정에 맞는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지원’, 지자체 중심 운영센터는 ‘지역 진로체험 지원 전담기관으로의 총괄’의 중요도를 가장 높게 인식했다.
학교 교사의 참여도 인식과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대응도 달랐다. 진로체험지원센터 업무에 대한 교사의 적극적인 참여는 교육청 중심(직영 30.8%, 위탁 36.8%)이 지자체 중심(직영 22.7%, 위탁 24.2%)보다 높았다.
학교 교육과정 변화에 대한 대응 비율은 지자체 중심 진로체험지원센터가 교육청 중심보다 높았다. 교육청 중심의 진로체험지원센터는 상황은 인지하고 있으나 지원 가능한 인력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정지은 연구위원과 이진솔 전문연구원은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진로탐색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 지역사회와의 협력 등이 필수적”이라며 “진로체험지원센터의 운영 유형별 특성을 고려해 ‘지역 맞춤형 진로교육 지원체계’ 마련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인포맥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민정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