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역별 순회 형식으로 개최되는 이번 간담회는 20일 부산권(부산·울산·경남)을 시작으로 광주권(광주·전남·전북, 21일), 대전권(대전·세종·충남·충북, 25일), 대구권(대구·경북, 27일)의 순으로 진행된다.
각 지방자치단체는 간담회에서 지난해 7월 발표된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반영된 권역별 주요 사업의 추진 상황과 함께 대선 및 지방선거 공약과 중점사업에 대한 추진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국토부 대광위는 광역철도와 트램, 간선급행버스(BRT), 환승센터 등 광역교통시설의 정책방향을 공유하고 관계기관의 건의사항을 듣는다는 계획이다.
광역철도의 경우에는 권역별 핵심 교통축으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정기준 개선에 대한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개정을 올해 안에 추진할 방침이다.
트램은 타당성평가 제도에 트램의 특성을 반영한 교통수요 추정과 편익 산정 등의 지표를 추가하는 등 지자체 건의사항을 고려해 제도를 정비하고 예비타당성조사 지침에 대해서도 기획재정부 및 한국개발연구원(KDI)과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
BRT는 우선신호기술과 폐쇄형 정류장, 양문형 굴절버스 등을 포함한 슈퍼-BRT(S-BRT) 실증사업이 마무리 단계인 만큼 다음달 말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S-BRT를 직접 탑승해 볼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김효정 대광위 광역교통운영국장은 “광역교통사업은 여러 지자체가 함께 사업에 참여하고 다양한 교통수단 간 연계가 필요해 관계기관 간 협력과 소통이 중요하다”며 “비수도권 간담회 이후 수도권 지자체와도 긴밀한 소통을 이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인포맥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종윤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