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축 아파트, 40년 된 아파트보다 에너지 23% 절감

최근에 지어진 아파트가 40년 전 준공한 아파트보다 난방 등 에너지를 23% 가량 절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에너지 허가기준 강화, 노후건축물에 대한 그린리모델링 추진 등으로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기준 전체 건축물 에너지 사용량은 총 3434만 3000TOE(석유환산톤)로 집계됐다고 31일 밝혔다.

국토부는 한국부동산원과 함께 전국의 모든 건물을 대상으로 지역별(광역시도 및 시군구), 용도별(29종), 세부용도별(13종), 에너지원별(전기·도시가스·지역난방)로 에너지사용량을 집계해 매년 5월말 건물에너지사용량통계를 발표하고 있다.



해당 통계에 따르면 단위면적 당 건물에너지사용량은 꾸준하게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도별로는 공동주택(43.2%)과 단독주택(15.9%) 등 주거용이 전체 에너지사용량의 약 60%를 차지했다. 비주거용에서는 근린생활시설(13.9%), 업무시설(5.9%), 교육연구시설(4.8%) 등의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서울(22%)과 경기(27%) 지역이 전체 에너지사용량의 절반(49%) 가까이를 차지했다. 그 중 서울은 연면적 비중(17%) 대비 에너지사용량 비중(22%)이 높아 다른 지역에 비해 단위 면적당 에너지사용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에서 사용한 에너지원은 전기(52%), 도시가스(40%), 지역난방(8%) 순이었다. 거주 형태에 따라 세분해서 살펴보면 주거용은 도시가스(52%)가, 비주거용은 전기(73%)가 각각 가장 많이 사용됐다.

단열기준 도입 시점인 1979년 이전 사용승인을 받은 건축물은 최근 10년 이내에 사용승인을 받은 주거용 건물에 비해 단위면적당 에너지 사용량이 23%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조건에서 비주거용 건물은 에너지 사용량이 36% 많았다.

국토부는 그동안 신축건축물에 대한 단계적 에너지 허가기준 강화, 노후건축물에 대한 그린리모델링 등 건물에너지효율 향상을 위해 추진한 녹색건축 정책이 감소 효과로 나타난 것이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세종시의 경우 지난해 건물에너지사용량 통계 중 전년대비 에너지사용량 증가율(7.8%)은 전국에서 가장 높았으나 연면적 증가율(8.6%)은 그보다 낮아 에너지효율이 높은 건축물의 보급과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 감소와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엄정희 국토부 건축정책관은 “건물에너지 사용량 및 효율 등의 다양한 지표를 분석하고 건물부문 온실가스배출량 통계로 확대하는 등 건물에너지사용량 국가승인통계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공공부문 디지털정보 공유기반 마련을 통한 디지털플랫폼 정부 구축에 기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인포맥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