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인터넷과의존 초등학생 증가 추세 뚜렷

인터넷과 스마트폰 중 하나 이상에서 위험군(이하 과의존 위험군)으로 진단된 청소년은 127만 명 중 23만 5687명으로 나타나 1년새 6796명 늘었다.

특히 초등 4학년은 최근 3년간 과의존 위험군 수가 가장 크게 증가하는 등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저연령화 추세가 지속됐다.



인터넷과 스마트폰 두 가지 문제를 모두 갖고 있는 청소년(이하 중복위험군)은 8만 8123명으로 전년대비 4243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전국 학령 전환기(초 4학년·중 1학년·고 1학년) 청소년 127만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2년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 결과를 26일 공개했다.

이 조사는 지난 2009년부터 여가부가 교육부, 시·도 교육청 등과 협력해 각급 학교를 통해 매년 실시되고 있다.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에게 치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위험사용자군과 주의사용자군 모두 증가해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 증가 추세가 이어졌다.

인터넷 과의존 위험군은 127만 명 중 18만 8978명이었다. 위험사용자군은 1만 7789명, 주의사용군은 17만 1189명으로 두 사용자군 모두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은 125만 명 중 13만 4832명으로 이 중 위험사용자군은 1만 4905명, 주의사용군은 11만 9927명이다.

전 학년에 걸쳐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도 증가했다.

학년별로는 중학생(8만 6342명), 고등학생(7만 8083명), 초등학생(7만 1262명) 순으로 과의존 위험군 학생 수가 많았다.

남자 청소년의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증가도 두드러졌다.

전년 대비 남자 청소년은 전 학년 늘었으나 여자 청소년은 소폭 증가하거나 중등 1학년은 줄었다. 초등학교·중학교 과의존 위험군은 남자 청소년이 많으나 고등학교 과의존 위험군은 여자 청소년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부는 청소년의 개인별 과의존 정도에 맞춰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과 전국 청소년상담복지센터 240곳을 통해 상담, 병원치료, 기숙치유프로그램 등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과의존 정도가 상대적으로 경미한 ‘주의사용자군’ 청소년은 학교별 집단상담 참여를 통해 올바른 이용습관과 사용조절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돕는다. ‘위험사용자군’에게는 개인별 상담을 제공해 미디어 과의존의 어려움에서 벗어나 일상생활을 회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추가적인 검사를 실시해 과의존 위험군 청소년 중 우울증·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등의 공존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병원치료도 지원한다.

가정에서 자녀의 미디어 이용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보호자 대상 교육 역시 강화할 예정이다. 치료비는 일반계층 최대 40만 원, 저소득 계층 최대 60만 원까지 지원한다.

시·도 청소년상담복지센터 17곳도 인터넷이 차단된 환경에서 주말 또는 방학을 활용한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치유캠프(11박12일), 가족치유캠프(2박3일) 등 기숙형 치유서비스를 지원한다.

학기 중 치유가 필요한 청소년은 국립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전북 무주), 국립대구청소년디딤센터(대구)에서 상시적으로 운영하는 상담·체험활동 등 통합 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여가부는 지난해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에서 개발한 미디어 사용조절능력 훈련 프로그램인 ‘인스탑(인터넷·스마트폰 STOP)’을 널리 활용할 수 있도록 전국 상담복지센터와 연계해 홍보를 강화할 예정이다.

김권영 여가부 청소년정책관은 “이번 진단조사는 청소년들이 객관적 지표를 통해 자신의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을 되돌아보게 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최근 청소년·스마트폰 과의존 저연령화 추세가 지속되는 현실에서 미디어 과의존 초기부터 청소년들의 특성을 고려한 전문적 상담과 치유서비스를 제공해 매체 역기능으로부터 청소년을 보호하고 균형 잡힌 생활습관을 만들어 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인포맥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