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남해선’ 반영 추진·무궤도 전기열차(TRT) 도입 검토 –

남해군이 ‘남해∼여수 해저터널’과 ‘국도 3호선 4차로 확장’, ‘남해안 섬 연결 해상 국도’ 등 광역 도로망 확충 기대 속에, 기존 도로 인프라를 활용한 철도교통망 신설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최근 남해군을 비롯한 7개 지자체는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대전∼남해선’을 반영하기 위해 공동 대응에 나섰다. 동시에 사천 우주항공벨트와 여수·광양 산업벨트를 연결하는 동서 철도축 구상도 구체화되고 있다.
‘대전∼남해선’은 대전에서 옥천, 무주, 장수, 함양, 산청, 하동을 거쳐 남해까지 이어지는 노선으로, 덕유산권–지리산권–남해안권을 연결하는 관광벨트 활성화를 목표로 한다. 여기에 ‘광양항∼사천 우주항공도시∼남해’를 잇는 산업철도 연장 구상도 더해지면서, 동서 교통망의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핵심 과제는 경제성 확보다.
남해군은 지난달 철도 전문가들과 간담회를 열고 사업 타당성 및 경제성 확보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사공명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원장은 “철도 1km 건설에는 약 5천억 원이 소요되며, 해상 교량 구간은 일반 교량보다 훨씬 많은 예산과 기간이 필요하다”며 “기존 철도 방식으로 남해까지 연결하기는 경제성 측면에서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무궤도 전기열차(TRT, Trackless Tram) 도입이 제안됐다. TRT는 유럽과 중국 등지에서 실용화된 친환경 운송수단으로, 레일 없이 일반 도로 위에 설치된 안내선을 인공지능(AI)과 센서로 인식해 주행한다. 여러 객차를 연결할 수 있어 대량 수송이 가능하며, 전기 배터리를 사용하는 저소음·무공해 교통수단이다.
기존 도로망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공사 기간 단축과 비용 절감 효과가 크고, 교량이나 터널 등 주요 인프라에도 별도 철로 공사 없이 진입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여수∼남해 해저터널과 같은 대규모 신규 구간도 신속하게 연계할 수 있다. 유럽에서는 이미 버스와 철도의 장점을 결합한 미래형 도시철도 시스템으로 자리 잡고 있다.
남해군은 TRT 노선이 현실화될 경우, KTX 환승을 통한 수도권 접근성 향상과 여수–남해–사천 관광 트라이앵글 구축을 통한 관광 활성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또한 남해∼여수 해저터널과 해상 국도를 연계해 가덕신공항까지 연결하는 트램 운행 구상도 가능할 것으로 내다본다.
남해군은 “남해가 대한민국 해상교통 혁신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장충남 남해군수는 “해저터널, 남해∼사천 항공우주벨트, 가덕신공항 등과 연계한 철도교통망 확충은 남해가 미래 교통축의 중심지로 도약할 절호의 기회”라며 “TRT는 남해군의 교통 혁신뿐 아니라 대한민국 남해안 경제·관광·물류 활성화를 견인할 상징적 교통수단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한국인포맥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심아람 다른기사보기
